Q ) 내담자의 정보 및 행동에 대한 이해 기법 4가지 쓰세요.
( 내담자와 관련된 정보를 수집하고 내담자의 행동을 이해하고 해석하는데 기본이 되는 상담기법을 쓰세요)
A)
1. 가정사용하기 : 상담자는 내담자에게 어떤 행동이 이미 존재했다는 것을 가정하여 질문
2. 왜곡된 사고 확인 : 결론도출, 재능에 대한 지각, 정보의 부적절함 이나 부분적인 일반화등 정보의 한부부만 보는 것
3. 변명의 초점 맞추기 : 책임 회피하기, 결과를 재구성하기, 책임을 변형시키기 등 내담자의 변명에 초점 맞춤
4. 전이된 오류 정정하기 : 직업상담에서는 전이된 오류 자주 발생, 정보의오류 (잘못된 정보를 인식하는 오류)
5. 저항감 재인식하기 및 다루기 : 전혀 동기화되지 않거나 저항감을 나타내는 내담자의 경우 저항감의 목적이 무엇인지 이해하고 재인식하는 것을 다루는 기술이 필요
1. 가정사용하기 : 상담자는 내담자에게 어떤 행동이 이미 존재했다는 것을 가정하여 질문
2. 왜곡된 사고 확인 : 결론도출, 재능에 대한 지각, 정보의 부적절함 이나 부분적인 일반화등 정보의 한부부만 보는 것
3. 변명의 초점 맞추기 : 책임 회피하기, 결과를 재구성하기, 책임을 변형시키기 등 내담자의 변명에 초점 맞춤
4. 전이된 오류 정정하기 : 직업상담에서는 전이된 오류 자주 발생, 정보의오류 (잘못된 정보를 인식하는 오류)
5. 저항감 재인식하기 및 다루기 : 전혀 동기화되지 않거나 저항감을 나타내는 내담자의 경우 저항감의 목적이 무엇인지 이해하고 재인식하는 것을 다루는 기술이 필요
1. 가정사용하기 : 상담자는 내담자에게 어떤 행동이 이미 존재했다는 것을 가정하여 질문
2. 왜곡된 사고 확인 : 결론도출, 재능에 대한 지각, 정보의 부적절함 이나 부분적인 일반화등 정보의 한부분만 보는 것
3. 변명의 초점 맞추기 : 책임 회피하기, 결과를 재구성하기, 책임을 변형시키기 등 내담자의 변명에 초점 맞춤
4. 전이된 오류 정정하기 : 직업상담에서는 전이된 오류 자주 발생, 정보의오류 (잘못된 정보를 인식하는 오류)
5. 저항감 재인식하기 및 다루기 : 전혀 동기화되지 않거나 저항감을 나타내는 내담자의 경우 저항감의 목적이 무엇인지 이해하고 재인식하는 것을 다루는 기술이 필요
1. 가정사용하기 : 상담자는 내담자에게 어떤 행동이 이미 존재했다는 것을 가정하여 질문
2. 왜곡된 사고 확인 : 결론도출, 재능에 대한 지각, 정보의 부적절함 이나 부분적인 일반화등 정보의 한부부만 보는 것
3. 변명의 초점 맞추기 : 책임 회피하기, 결과를 재구성하기, 책임을 변형시키기 등 내담자의 변명에 초점 맞춤
4. 전이된 오류 정정하기 : 직업상담에서는 전이된 오류 자주 발생, 정보의오류 (잘못된 정보를 인식하는 오류)
5. 저항감 재인식하기 및 다루기 : 전혀 동기화되지 않거나 저항감을 나타내는 내담자의 경우 저항감의 목적이 무엇인지 이해하고 재인식하는 것을 다루는 기술이 필요
+++ 나의 TIP +++
2차 준비는 우선 문제를 보면 바로 왼쪽편 가정사용하기, 왜곡된 사고 확인, 변명의 초점 맞추기, 전이된 오류 정정하기 이런식으로 바로 나오게 외우는 것이 먼저입니다.(가 왜 변 전)
왼쪽을 외우고 난 뒤 오른쪽 설명을 조금씩 조금씩 살을 붙여 나가면 되더라구요. 요령은 없는거 같아요. 무조건 반복적으로 보는 것이 최고입니다.
'직업상담사 > 직업상담학 실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상담목표를 쓰세요 (0) | 2017.07.28 |
---|---|
행동주의 상담에서 내적인 행동변화와 외적인 행동변화에 대해 쓰시오 (0) | 2017.07.28 |
펄스의 형태주의 이론에서 ~~~~ 신경증 층 3가지 쓰고 설명 (0) | 2017.07.27 |
형태주의 상담의 주요 목표 / 게슈탈트 상담기법 (0) | 2017.07.27 |
진로시간전망 검사 중 코틀의 원형검사에서 시간전망 3가지 차원을 쓰세요 (0) | 2017.07.27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