직업상담사 /노동시장론 실기

기혼여성의 경제활동 참가율

두릿 2017. 12. 14. 10:00
반응형

1. 남편의 임금 상승 시 기혼여성의 경제활동참가율의 변화를 그림으로 나타내고 설명하세요.

- 남편의 임금(=비노동 소득)이 높을수록 기혼여성의 경제활동참가율은 낮아진다.

즉, 남편의 임금과 기혼여성의 경제활동참가율은 반비례한다.

* 참고 : 비노동 소득이 많으면 노동 공급이 감소=>대체효과는 없고 소득효과만 있다

여가와 소득의 선택 모형에서 여가의 대체효과와 소득효과의 의미를 쓰고, 여가가 열등재일때 소득증대에 따른 노동공급의 변화를 설명하시오

여가가 열등재일 경우, 노동공급곡선은 우상향 한다. 참 거짓 불확실을 판정하고, 여가와 소득의 선택 모형에 의거하여 설명하세요

 

2. 기혼여성의 경제활동참가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쓰시오.

- 배우자의 소득수준

- 가계 생산기술의 수준

- 법적 제도적 장치 수준

- 자녀의 수

- 기혼여성의 교육수준

3. 기혼여성의 경제활동 참가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결과를 기술하세요.

- 배우자의 소득이 낮을수로 경제활동참가율은 증가한다

- 가계생산기술이 향상될수록 경제활동참가율은 증가한다

- 자녀의 수가 적을수로 경제활동참가율은 증가한다

- 기혼여성의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경제활동참가율은 증가한다

- 여성의 직업생활을 보호하는 법과 제도가 많을수록 경제활동참가율은 증가한다

- 파트타임, 시간제 근무제도의 일자리가 증가할수록 경제활동참가율은 증가한다

- 보상요구임금이 낮을수록 여성의 경제활동참가율은 증가한다

 

4. 기혼여성의 경제활동 참가율을 낮게 하는 요인을 쓰세요.

- 배우자의 소득이 높을수록 경제활동참가율은 낮아진다

- 가계생산기술이 낮을수록 경제활동참가율은 낮아진다

- 자녀의 수가 많을수록 경제활동참가율은 낮아진다

- 기혼여성의 교육수준이 낮을수록 경제활동참가율은 낮아진다

- 여성의 직업생활을 보호하는 법과 제도가 적을수록 경제활동참가율은 낮아진다

- 파트타임, 시간제 근무제도의 일자리가 감소할수록 경제활동 참가율은 낮아진다

- 보상요구임금이 높을수록 경제활동참가율은 낮아진다


5. OECD 국가 중 우리나라는 기혼여성의 노동참가율이 적다. 그 영향을 끼치는 요인을 6거자 쓰세요.

- 출산과 육아로 인한 퇴사

- 기혼여성의 취업직종의 제한

- 육아나 가사부담을 위한 법적, 사회적지원 미비

- 낮은 임금 수준

- 파트타임, 시간제 근무제 노동시자의 미발달


* 직업상담사 실기 합격을 위해서는 많은 문제를 풀어보는것이  중요해요

다른 문제 3문제 더 공부해 볼까요?

1.  super 수퍼의 발달적 직업상담

2. 특성요인 문제

3. 직업적응이론에서는 개인이 환경과 상호작용하는 특성을 나타내 주는 4가지 성격 유형요소를 가정한다. 이 성격유형 요소를 쓰고 설명하세요


반응형